코딩 테스트48 [개념] 그래프 이론 그래프란 노드와 노드 사이에 연결된 간선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자료구조를 의미한다. 알고리즘 문제를 접했을 때, '서로 다른 개체가 연결되어 있다' 는 이야기를 들으면 가장 먼저 그래프 알고리즘을 떠올려야 한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도시가 연결되어 있다' 와 같은 내용이 등장하면 그래프 알고리즘을 의심해보자 더불어 그래프 자료구조 중 트리 자료구조는 다양한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므로 꼭 기억해두자 그래프 트리 방향성 방향 그래프 혹은 무방향 그래프 방향 그래프 순환성 순환 및 비순환 비순환 루트 노드 존재 여부 루트 노드가 없음 루트 노드가 존재 노드간 관계성 부모와 자식 관계 없음 부모와 자식 관계 모델의 종류 네트워크 모델 계층 모델 또한 그래프의 구현 방법은 2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1. 인접 행렬.. 2023. 8. 13. [개념]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한 지점에서 다른 특정 지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구해야 하는 경우' 에 사용할 수 있는 최단 경로 알고리즘이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단계마다 최단 거리를 가지는 노드를 하나씩 반복적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해당 노드를 거쳐 가는 경로를 확인하며, 최단 거리 테이블을 갱신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출발 노드가 1개 이므로 다른 모든 노드까지의 거리를 저장하기 위해 1차원 리스트를 이용했다. 반면,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은 '모든 지점에서 다른 모든 지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모두 구해야 하는 경우' 에만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 또한 단계마다 '거쳐 가는 노드'를 기준으로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하지만 매번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에서 최단 거.. 2023. 8. 13. [백준 10282번] 해킹 문제 풀이 '이때 b가 a를 의존하지 않는다면, a가 감염되더라도 b는 안전하다' 라는 문구에서 방향이 있는 그래프임을 알 수 있다. 테스트 케이스의 크기만큼 반복하여,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이용해 개수와 최대값을 구하면 감염된 컴퓨터의 개수와 모두 감염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구할 수 있다. import sys import heapq input = sys.stdin.readline INF = int(1e9) test_num = int(input()) def dijkstra(start): q = [] distance = [INF] * (n + 1) heapq.heappush(q, (0, start)) distance[start] = 0 while q: dist, no.. 2023. 8. 9. [백준 1238번] 파티 문제 풀이 먼저 간단한 다익스트라 구조를 이용하여 가는 거리와 오는 거리를 구해 최댓값을 구했는데, 입출력은 동일하나 시간 초과가 나왔다. 그래서, 힙을 이용하여 개선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더니 해결되었다. import sys import heapq input = sys.stdin.readline INF = int(1e9) # 노드의 개수, 간선의 개수 입력 받기 n, m, x = map(int, input().split()) # 각 노드에 연결 되어 있는 노드에 대한 정보를 담는 리스트 만들기 graph = [[] for i in range(n +1)] # 모든 간선 정보를 입력 받기 for _ in range(m): a, b, c = map(int ,input().split()) # a번 노드에서 b번.. 2023. 8. 8. 이전 1 ··· 6 7 8 9 10 11 12 다음